퇴임을 앞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5일 광복회의 ‘독립운동가 최재형상’ 시상식에 직접 참석했다.
추 장관은 이날 오후 4시쯤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해 김원웅 광복회장으로부터 상을 전달받고 “저에게 옷깃 여밀 기회를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일각에서 수상자 선정이 편파적이란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논란을 의식한 추 장관이 대리수상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지만 추 장관이 직접 시상식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광복회는 수상 이유로 추 장관이 재임 중 친일파 후손이 소유한 재산 171필지(면적 약 293만㎡, 공시지가 약 520억원, 시가 약 3000억원)를 국가에 귀속시킨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추 장관은 수상 소감에서 “이 자리에 오는 것이 조금 쑥스럽기도 했다”면서 “친일 재산 환수를 처음으로 500억원 넘게 하기까지 아마 앞으로도 더 잘해 달라는 법무부에 대한 관심과 응원 차원이 아닌가 해서 저 개인 입장보다는 법무부의 관심·촉구로서 노력해 달라는 차원에서 받게 됐다”고 말했다.
추 장관은 법무부 장관직을 내려놓는 소회도 드러냈다. 추 장관은 자신을 ‘촛불로 세운 문재인정부의 법무부 장관’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안중근 의사가 옥중에서 남긴 ‘위국헌신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나라를 위해 몸을 바침은 군인의 본분)이라는 휘호를 언급하며 “정의에 대해서 헌신하는 것이 문재인정부 공직자의 본분”이라고 했다.
추 장관은 “며칠 후엔 숨 가쁘게 달렸던 일련의 장관직을 마무리하고 떠나게 된다”며 “따뜻한 응원 영원히 잊지 않고 가슴에 새기며 저 자신을 성찰하고 가다듬는 좌표로 삼겠다”고 말했다.
앞서 광복회는 독립운동에 경제적 도움을 준 최재형(1860∼1920) 선생의 정신을 기린다는 취지에서 지난해 ‘최재형상’을 만들었다. 지난해 5월과 12월 각각 고(故) 김상현 의원과 유인태 전 국회사무처장이 상을 받았는데 추 장관을 포함한 세 명이 친정부 인사란 점에서 일각에서 ‘정치적으로 치우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문영숙 사단법인 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 제정 시 관련 조례와 심의·선정 등의 절차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기준 없이 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임의로 상을 주는 것이야말로 최 선생에 대한 명예훼손”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 회장은 “(이번 수상은) 정파적인 이해관계에 의한 것이 아니다. 역사 정의를 실천하는 과제로서 상벌위원회에서 수상자를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광복절 75주년 경축식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친일파’로 공개 규정하는 등 끊임없이 문제적 발언을 해 논란이 돼 왔다.
김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은닉된 친일 재산을 찾아내 국고 환수하는 노력을 통해 광복회의 사회적 위상을 한층 높여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 “지난 75년간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은 친일 미청산에 기인한다”며 “표절과 친일·친나치 행위로 얼룩진 애국가 작곡가(안익태)에 대한 역사적 심판과 함께 새로운 국가(國歌) 제정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를 광복회가 조성해 나가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 당시에도 “민족 반역자가 작곡한 노래를 국가로 정한 나라는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유일하다”고 했고, 안익태 유족은 김 회장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소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