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반려동물 사육 인구 40만 명 시대를 맞아 유기동물 발생을 막고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뿌리내리기 위해 ‘반려견 동물등록비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2개월령 이상의 반려견 소유자가 내장형칩 방식으로 동물 등록할 경우 3만 원을 반려인에게 지원하는 사업으로 5000마리에 한해 처음으로 시행한다.
다음 달 1일부터 이뤄질 지원사업 대상은 내장형칩으로 동물등록을 한 반려인으로 주민등록 주소지가 광주시이면 된다.
반려인이 동물병원을 방문해 내장형칩으로 동물등록을 하고 동물병원에서 지원 신청서를 작성하면 담당 구청에서 반려인 계좌로 지원금을 입금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1인당 최대 3마리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동물등록제는 반려견을 소유한 사람이면 누구나 동물등록대행업체(동물병원)를 통해 동물등록을 해 반려견을 잃어버렸을 때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반려인은 전자태그를 목에 걸고 다니는 외장형과 마이크로칩을 몸에 삽입하는 내장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목걸이 형태인 외장형은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유기동물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는 낮다.
하지만 가격이 내장형보다 2배 이상 저렴하다.
반면 마이크로칩을 체내에 삽입하는 내장형은 부작용이 있다는 일부 반려인의 잘못된 정보와 외장형보다 비싸다는 이유로 피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로 인해 동물등록제도가 지난 2013년부터 시행됐지만, 광주시 동물등록률은 전국 평균보다 낮고 매년 버려지는 유기동물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유기동물 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내장형칩으로 동물등록 시 등록비 일부를 반려인에게 지원하는 정책을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광주에는 지난해 말까지 총 5만327마리가 등록을 마쳤다. 추정 반려견의 31% 정도다.
광주에서는 현재 총 16만 가구 40만 명이 반려견 16만4000마리, 반려묘 6만9000마리, 기타 1만5000마리의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광주시 김현중 생명농업과장은 “내장형칩의 부작용은 지난 8년간 동물등록제 추진 결과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됐다“며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된 만큼 많은 반려인이 예산지원을 받아 등록제에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