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이번엔 ‘착한 선결제’ … 코로나 극복 모델 또 자리잡나

입력 2021-01-21 10:57
전주시청사.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시가 이번에는 ‘착한 선결제 운동’을 벌인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자제 등으로 위축된 경제위기를 사회적 연대의 힘으로 함께 극복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착한 임대운동, 해고 없는 도시 상생선언 등에 이어 코로나 위기 극복 모델로 또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전주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벼랑 끝에 내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전주형 착한 선결제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오는 3월 31일까지 70여 일간 10만~30만 원을 미리 결제하고 나중에 쓰는 착한 소비운동이다. 음식점과 옷가게에서 선결제, 예술공연 티켓 선구매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된다. 현금이든 전주사랑상품권이든 모두 가능하다.

시는 이의 성공을 위해 10%의 캐시백을 지급하는 전주사랑상품권 혜택을 예산 범위 내에서 20%로 확대하기로 했다. 월 충전한도도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2배 늘리기로 했다.

이런 혜택은 다음 달 28일까지 충전한 대상자에게 지급된다. 3월 31일 이후에는 10% 추가 혜택이 없어진다.

이 캠페인에는 1단계로 시와 출연기관, 산하단체 임직원 5000여명이 참여한다. 27일부터는 민간 분야의 2단계 선결제 운동이 전개된다.

시는 이 캠페인이 확대되면 코로나19 여파로 벼랑 끝에 내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큰 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5만 명의 시민이 전주사랑상품권을 두 달 동안 100만 원씩 충전해 선결제 할 경우 모두 1000억 원이 시중에 돌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선결제한 업소가 폐업해 5월까지 나머지 돈을 사용하지 못하는 시민에게는 보상금을 주기로 했다. 시는 관련 지원상황실을 3월 말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코로나19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행을 부수는 상상력과 협력을 통한 사회적 연대의 힘이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하다”며 “벼랑 끝에 선 절박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삶을 지켜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전주시는 지난해 착한 임대운동을 시작으로 착한 소비운동, 해고 없는 도시 상생선언 등을 다른 지자체들보다 먼저 시작, 코로나 위기 극복 모델을 잇따라 제시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