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가장 먼저 들어올 코로나19 백신은 미 제약사 화이자 제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 공동구매 연합체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들어오는 초도 물량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관계자는 21일 “코백스 초도 물량 약 5만명분과 관련해 화이자 백신을 유력하게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다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확정되는 대로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코백스를 통해 백신 1000만명분을 확보하기로 하고 지난해 10월 선급금 850억원을 지급한 상태다.
코백스는 각국에 초도 물량을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전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코백스에서 2월 초 백신을 받겠느냐는 연락이 와서 ‘받겠다’고 답하고 지금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초도 물량은 5만명분이라고 언급했다.
화이자 백신은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으로 영하 75도(±15도)의 냉동 유통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방역 당국은 화이자와 모더나 등 mRNA 백신은 냉동고를 배치한 별도 접종센터를 지정해 접종한다는 계획으로, 현재 냉동고 구매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코백스 외에 해외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 등 4곳과 총 4600만명분의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미국 제약사인 노바백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 간 기술 도입 계약 등을 거쳐 2000만명분 선구매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