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법감시위 역할 다해달라” 이재용의 옥중 첫 메시지

입력 2021-01-21 09:08 수정 2021-01-21 09:44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며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실형을 받아 구속 수감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준법감시위원회의 활동을 계속해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삼성전자는 21일 이 부회장이 “준법감시위원회의 활동을 계속 지원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위원장과 위원들께는 앞으로도 계속 본연의 역할을 다해 주실 것을 간곡하게 부탁한다”라는 메시지를 전해왔다고 밝혔다. 이날은 서울 서초사옥에서 준법감시위 정례회의가 있는 날이다.

삼성 준법감시위는 2019년 이 부회장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이 부회장에게 ‘당당한 경영’을 주문한 이후 이듬해 설치된 외부 독립위원회다. 시민단체 일부에서 재판 종료 이후 준법감시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직접 준법감시위 활동 지속에 힘을 실어주면서 진정성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5월 대국민 입장 발표에서 “준법이 삼성의 문화로 확고하게 뿌리내리도록 하겠다. 재판이 끝나더라도 삼성 준법감시위는 독립적인 위치에서 계속 활동할 것이다. 그 활동이 중단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었다.

지난해 12월 파기환송심 최후진술에서도 “(삼성을) 준법을 넘어 최고 수준의 투명성을 갖춘 회사로 만들겠다”며 “과거로 돌아가는 일은 결코,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또 “준법감시위가 본연의 역할을 하는 데 부족함이 없도록 충분한 뒷받침을 하겠다. 이제부터는 준법감시위원들을 정기적으로 뵙고 저와 삼성에 대한 소중한 질책도 듣겠다”고도 다짐했다.

준법감시위는 이날 정기회의에서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7개 관계사가 제출한 개선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8일 파기환송심 재판부는 준법감시위가 실효성의 기준을 충족했다고 보기 어렵고, 앞으로 발생 가능한 새로운 행동을 선제적으로 감시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 부회장의 양형에 준법감시위 활동을 참고하지 않고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했다. 이 부회장은 이에 따라 18일 선고 직후 서울구치소에 갇혔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