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백스 2000만명분 계약 추진… 文 “봄 앞당길 것”

입력 2021-01-20 18:02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경북 안동시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을 방문해 코로나19 백신 생산 시설을 시찰하던중 백신을 들어보이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는 국민들의 코로나19 예방 접종을 위해 공급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위탁생산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코로나19를 종식할 ‘무기’인 백신을 2000만명분 추가로 확보했다. 전국민이 코로나19로 혹독한 겨울을 보내고 있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봄이 곧 올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백신의 효과가 어느 정도일지, 얼마나 안전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해외에서는 고령자들이 잇따라 사망한 데 이어 접종 중단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20일 SNS를 통해 “내달이면 우리는 백신과 치료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며 “봄을 앞당겨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날 오전 경북 안동의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을 찾아 백신 생산 현장을 둘러봤다. 스탠리 에르크 노바백스 대표와 화상회의도 진행했다. 문 대통령은 단순 위탁생산을 넘어선 이번 기술이전 계약이 국산 백신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질병관리청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 백신 약 2000만명분의 구매 계약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다. 전체 국민이 다 맞고도 남을 물량(5600만명분)을 확보했으나 만약에 대비해 추가 확보에 나서는 것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와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한 다음 국내 공장에서 해당 물량을 생산해 정부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다.

방역 당국은 합성항원 방식의 노바백스 백신을 도입함으로써 위험성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에 확보한 백신들은 mRNA 또는 바이러스전달체 방식이었다. 냉장 온도(2~8도)에서 보관·유통할 수 있고, 유효기간도 최대 3년으로 넉넉하다는 강점이 있다.

다만 실제 도입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두 회사의 기술 도입 계약이 아직 공식적으로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이 아직 어느 국가에서도 허가 승인을 받지 못했다는 점도 변수다. 화이자나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달리 해외 국가에서 먼저 접종하는 사례가 없어 아직 안전성, 효과성에 대한 정보도 없다.

대신 정부는 기존에 확보했던 5600만명분의 일부가 이르면 2~3주 뒤에 국내에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코백스 퍼실리티(국제 백신 공동구매기구)와 계약한 1000만명분 중 초도물량이 다음달에 도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물량은 5만명분이고 아직 일정 등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들여온 백신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유통·보관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미국에서는 특정 제조번호의 물량을 맞은 의료진이 집단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 캘리포니아주 내에서 모더나 백신 사용 중단이 권고됐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발표를 지켜봐야겠지만 유통·보관 문제일 수 있다”며 “(모더나 백신) 전체적인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에서는 고령자 5명이 백신 접종 후에 숨졌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