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최근 코로나19 전파를 억제하기 위한 ‘등교 중지’ 조치가 그 효과에 비해 개인과 사회적 부담이 더 크다는 취지의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이어지면서 돌봄 공백과 학력 격차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정 청장의 분석 결과가 ‘등교 개학’ 주장에 불을 붙일지 주목된다.
정 청장은 지난달 27일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연구팀과 함께 소아감염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등교수업이 재개된 지난해 5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3~18세의 소아·청소년 확진자 127명을 조사한 결과 학교 내에서 감염된 환자는 3명(2.4%)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나머지 환자들의 감염 경로는 가족과 친척이 59명(46.5%)으로 가장 많았고, 입시학원이나 개인 교습에서 18명(14.2%), 코인노래방이나 PC방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8명(6.3%)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7월 12일까지 발생한 국내 누적 확진자(1만3417명) 중 소아·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은 7.2%로, 등교수업 전후의 감염자 수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앞서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학교가 코로나19 감염 고위험 환경이 아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연구팀은 “어린이의 권리 보호와 기본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코로나19 봉쇄의 초점을 학교의 사회적 가치 달성 및 교육 지속으로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일단 정 청장의 논문에 대해 “지난해 우려했던 것만큼 학교 내에서의 감염 전파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아 고무적이라는 내용을 발표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영준 중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방역당국과 교육당국에서 사전 모니터링, 의심환자 조기 배제 등을 잘 수행해 이 정도의 성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팀장은 그러나 “시기에 따라 이런 양상이 반복될지는 다른 문제”라면서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당시 학교에서 사전 준비와 모니터링이 철저히 이뤄졌던 것만큼 이번에도 잘 유지된다면 감염 전파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유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