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대 부산 경제는…“미래 산업 전환 서둘러야”

입력 2021-01-20 17:24

존 바이든 미국 대통령 시대를 맞아 부산지역 산업을 친환경과 2차 전지 관련 산업으로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0일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부산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상의의 7개 분야별 자문 교수단을 상대로 진행했다.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7명 자문 교수 모두 바이든 행정부의 가장 중요한 경제정책 변화로 친환경에 기반을 둔 강력한 산업정책 추진과 트럼프 행정부가 펼쳐온 보호무역 기조를 폐기하고 다자간 무역협정 복원에 기반을 둔 자유무역주의로의 회기를 꼽았다.

자문단은 바이든 행정부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추진할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달러 가치 하락을 동반해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아 부품·소재산업에 강점을 지닌 부산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대립 양상을 보이던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체제로 바뀐다고 하더라도 중국의 기술 굴기를 꺾기 위한 미국의 견제가 지속하면서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에너지와 2차전지, 5G 등의 미래 기술력을 갖춘 기업들은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는 기회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차 등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와 관련된 부품·전장업체에 성장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기자재 업계도 친환경 선박 시장 성장을 바탕으로 LNG 운반선과 LNG 추진 선박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갈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과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방향이 유사한 만큼 지역 내 풍력 업체와 수소 운송, 보관기술을 갖춘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전반적 미국 달러화의 약세와 자유무역주의 확대는 지역 주력 제조업에 유리한 수출환경을 조성할 가능성이 높아 그동안 물량감소로 부진을 겪었던 지역 해운업계의 실적 호전도 기대된다.

반면 미국의 강력한 탄소 중립 정책의 시행과 파리기후협약 재가입은 탄소세 부과로 이어져 철강, 석유화학과 같은 친환경과 동떨어진 산업군에는 제조원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각별한 유의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심재운 부산상의 조사본부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친환경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 때 성장 한계에 직면한 주력 제조기업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도전할 것”이라며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지역에 맞게 구체화한 부산형 뉴딜과 같은 혁신적인 산업정책이 강력히 추진되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