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저격한 정의연 “당혹스럽고 실망했다”…왜?

입력 2021-01-20 13:14 수정 2021-01-20 13:22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소녀상 앞에서 열린 제1475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는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2015년 한·일 합의를 공식 합의로 인정하고 법원의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에 곤혹스럽다고 한 것에 대해 “당혹스럽고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이나영 이사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75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문 대통령을 향해 “일본 정부에 비굴하다 느껴질 만큼 수세적 대응이나 완전한 침묵으로 일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이 이사장은 “인권변호사 시절 약자와 함께했던 대통령께서 피해자들이 30여년 싸워 이뤄낸 판결의 국제인권사적 의미를 모를 리 없을 것이고 2018년에는 ‘진실과 정의의 원칙’을 강조한 바 있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소녀상 앞에서 열린 제1475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반인도적 범죄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우려는 일본의 비열한 행태에는 도대체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가”라고 했다.

이 이사장은 “일본이 범죄 사실을 인정하고 진실을 규명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을 하는 것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가능케 할 수 있다”며 “한국의 사법부가 열어젖힌 마지막 기회의 문이 한국 정부에 의해 허무하게 닫히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8일 신년 회견에서 “(한·일 간 현안을 위해) 노력을 하는 중에 위안부 판결 문제가 더해져서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2015년) 합의가 양국 정부 간 공식적인 합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한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