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 중소기업이 다음 달부터 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를 대량 생산하게 됐다. 일반 주사기와 달리 주사 잔량 손실을 줄여줘 백신을 증산하는 효과를 내는 최소주사잔량(LDS) 기술이 적용된 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풍림파마텍이 LDS 기술이 적용된 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를 월 1000만개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양산 체계를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풍림파마텍의 코로나19 백신용 주사기는 백신 1병당 6회분(명)을 주사할 수 있다. 일반 주사기로는 백신 1병당 5회분(명)까지만 주사할 수 있는 것과 비교하면 코로나19 백신을 20% 추가 증산하는 효과가 있는 셈이다.
풍림파마텍의 백신용 주사기는 지난 6일에, 주사 과정에서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갖춰야 하는 안전보호가드 및 주사침은 지난 15일에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각각 국내 사용 허가를 받았다. 풍림파마텍 주사기는 미국 제약회사의 최소주사잔량 등에 대한 성능테스트를 통과했고, 코로나19 백신 제약회사의 성능요구 조건도 충족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술특허 및 디자인 특허를 출원하고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국제특허 출원도 진행하고 있다.
풍림파마텍의 자체 생산기반으로는 월 400만개의 백신용 주사기 제작이 가능했다. 하지만 중기부와 함께 중소기업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지원을 거쳐 한 달 만에 시제품 생산부터 양산 설비 구축 등 스마트공장 생산라인을 완비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이 2.5배 증대된 월 1000만개 이상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에 대기업의 스마트제조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 역량을 결합하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후원하는 민관 협력의 대표적인 성공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현재 풍림파마텍 외에도 ㈜한국백신, ㈜성심메티칼 등 6~7개의 주사기 생산업체에 대해서도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