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국민의힘에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위한 본경선 문호 개방을 공식 제안했다. 자신을 포함한 야권 후보가 국민의힘 본경선 단계에서 한꺼번에 참여하는 ‘개방형 통합 경선’을 치르자는 것이다. 이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 당 후보가 확정된 다음에 단일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즉각 거부했다.
안 대표는 1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에 입당하라는 것은 처음부터 무리한 얘기”라며 “국민의힘 경선 플랫폼을 야권 전체에 개방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민의힘 본경선에 입당 없이 참여시켜달라는 뜻이다. 안 대표는 “소모적인 입당 논쟁으로 야권 지지자들의 실망과 피로감을 키워선 안 된다”며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에 무소속 상원의원인 버니 샌더스가 참여했듯 완전히 새로운 방식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플랫폼 관리를 국민의힘에 맡길 수 있다고도 했다.
안 대표로선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나경원 전 의원 등 국민의힘 ‘빅2’의 경선 출마 이후 꺼져가던 범야권 단일화 논의의 불씨를 되살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내 최종 후보가 선출돼 안 대표와 1대1 구도로 ‘시민 경선’을 치르는 것보다 안 대표가 국민의힘 본 경선에 참여해 1대 다자 구도 경선으로 흐르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안 대표의 제안에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김종인 위원장은 “국민의힘으로서 할 일이 있는데 안 대표가 무조건 제안한다고 수용할 수는 없다”며 “국민의힘 후보가 확정되기 전에 단일화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지금 안 대표는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것”이라며 “현재 우리 당헌·당규상으로는 당원을 상대로 경선을 치르게 돼 있어 안 대표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후보들은 이날도 각자 일정을 이어가며 선명성 경쟁을 벌였다. 나경원 전 의원은 자신의 보수 색채를 강조하며 ‘노선 경쟁’에 불을 붙였다. 이날 CBS라디오에서 “보수와 진보 이념은 있지만 중도 이념은 없다”며 “중도층도 지금은 보수 이념을 선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짬뽕을 좌파, 짜장면을 우파에 비유한 뒤 “큰 그릇에 짬뽕과 짜장을 부어서 섞어 주지는 않는다”며 ‘짬짜면 이론’으로 자신의 이념적 선명성을 재차 강조했다.
반면 오세훈 전 시장은 자신의 서울시장 경력을 부각하는 방법으로 선명성을 강조했다. 오 전 시장은 이날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제4지구를 방문해 제2종 주거지역 7층 제한 폐지를 공약했다. 오 전 시장은 자신이 시장 재임 시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펼치며 이곳을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했으나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 관련 사업이 정체된 바 있음을 강조하며 짧은 임기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준비된 시장 후보임을 내세웠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