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한 시민단체가 반환이 결정된 대구 미군기지 반환지 오염이 심각하다는 내용의 자료를 입수해 공개했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대구 캠프워커 동쪽 활주로와 헬기장 부지(6만6800여㎡)의 토양과 지하수 환경오염 실태를 조사한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조사 보고서를 입수해 검토한 결과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반환 부지 188개 지점에서 994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유류에 의한 오염 여부를 나타내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 최고 농도가 8892㎎/㎏으로 기준치(500㎎/㎏)를 17.8배 초과했다. 또 비소, 벤젠, 카드뮴, 구리, 납 등 유해 물질 항목이 기준치를 넘었다. 조사 기준은 토양환경보전법상 주거지 등에 적용하는 1지역 기준으로 기준치 초과 면적은 반환 부지의 절반 가량인 3만600㎡에 이른다.
지하수에서도 32개 시료 중 6개 시료에서 TPH 최고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최대 9724배, 페놀은 최대 4배 높게 검출됐다. 지하수 과불화화합물 분석 결과 35개 시료 가운데 11개 시료에서 환경부 수질 감시 기준을 초과했다. 석면도 조사 대상 지역 내 건축물 등에서 발견됐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관계자는 “오염 정화를 위한 전 과정에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민관협의회 구성이 필요하다”며 “환경오염을 야기 시킨 미군(캠프워커)측에 수십억원이 드는 환경 정화비용 일체를 부담하도록 대구시와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 미군기지 반환 부지에는 대표 도서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르면 다음달부터 정화작업을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