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평화·대화·비핵화 의지 분명”…낙관론 펼친 文대통령

입력 2021-01-18 17:53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평화와 대화, 비핵화 의지가 분명히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미연합훈련 재개 문제에 대해 “북한과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신행정부에 대해선 “우리 정부와 기조가 유사하고 코드가 맞는 지점들이 있다”면서 조기에 정상회담이 이뤄지길 희망했다. 한반도 상황이 큰 변화 없이 5년차를 맞은 데 대해서도 “제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며 안타까운 심경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의 평화, 대화, 비핵화 의지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북한이 요구하는 건 확실한 체제 안전을 보장받고 미국과의 관계가 정상화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큰 원칙은 북·미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 때 합의가 돼 있다. 문제는 어떻게 구체적·단계적으로 이행할지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남측 답방에 대해선 “언젠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꼭 김 위원장의 답방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이어 “저는 언제 어디서든 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고, 신뢰가 쌓이면 김 위원장 답방도 이뤄지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북한이 예민하게 반응해온 한·미연합훈련에 대해선 연례적으로 이뤄지는 방어적 목적의 훈련이라면서도 필요하다면 북측과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미연합훈련도 크게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틀 속에서 논의될 수 있는 문제”라며 “필요하면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통해서 북한과 협의할 수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 목적으로 한·미 협의를 통해 연합훈련 규모를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종전선언에 대해선 “비핵화 또는 평화 구축 대화 과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며 “바이든 정부가 취임하게 되면 다양한 소통을 통해 우리의 구상을 미국 측에 설명하고, 또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지난 8일 우리 법원의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더욱 악화한 것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솔직히 곤혹스러운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수출규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위안부 판결까지 더해졌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한·일 간 미래지향적 발전은 그것대로 하고, 과거사 문제도 사안별로 분리해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면서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를 별도로 봐야 한다는 점을 당부했다. 취임 초기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중대한 흠결이 있다고 했던 문 대통령은 그럼에도 “이 합의가 양국 정부 간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서 이 토대 위에서 해법을 찾겠다고 했다.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의 경우도 “강제집행 방식으로 (전범기업 자산의) 현금화가 되기 전 외교적 해법을 찾는 게 우선”이라며 자산매각명령이 나오기 전 방안을 찾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