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유흥업소들이 정부의 거리두기·집합금지 연장 조치에 반발해 18일 영업 강행에 들어간다. 불복종 영업을 천명한 이들은 오는 21일 전국적 항의시위도 열기로 했다.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광주시지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 첫날인 18일 오후부터 상무지구, 첨단지구 등의 유흥업소가 문을 열고 재개한다”며 “오후 6시부터 간판에 불을 켜고 영업을 강행하는 방식으로 방역당국에 항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시지부는 업주들에게 영업을 강제하지 않고 각 업주들의 판단에 맡긴다는 방침이다.
광주시지부 관계자는 “사무처장 등 관계자 4명이 광주시청을 방문, 이용섭 시장과 면담을 갖고 집합금지 해제나 현실적 보상책을 요구했으나 뾰족한 대답을 듣지 못했다”며 “SNS 등으로 의사를 타진한 결과 80% 이상이 영업에 나선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상무지구 상인자치회 소속 유흥업소 업소 등 50여명도 영금시간 제한 조치 해제 등을 요구하며 광주시청 로비에서 면담결과에 기대를 걸었으나 이견만 확인한 자리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업주들은 이 시장과 만난 자리에서 “일반음식점과 달리 유흥업소 영업만 금지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 생존권을 보장해 달라”고 주장했다. 이에 이 시장은 “정부 방침을 거스를 수는 없으며 추가 지원과 보상이 어렵지만 정부와 관련 사안을 논의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시장은 “확진자가 한 나릿수로 유지되면 선제적으로 집합금지를 해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광주시지부는 이에 따라 영업 강행과 더불어 오는 21일 예고된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의 전국집회 일정에 맞춰 같은 날 광주시청 앞에서 규탄 집회를 갖기로 했다.
이에 맞선 광주시는 이날 오후 6시를 기해 5개 자치구와 함께 유흥업소 밀집지역에서 긴급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집합금지를 위반하고 문을 연 업소는 ‘감염병 예방법’ 위반으로 고발할 계획이다.
광주지역 유흥업소들은 실질적 영업을 전혀 하지 못한 기간이 3개월이 넘어 더 이상 버틸 수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광주시 방역당국 관계자는 “영업을 강행한다면 법과 규정에 따라 고발 조치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