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역 흉물로 전락해 도시 미관을 크게 훼손하며 도시 쇠퇴를 가속화 시키는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빈집 정비사업이 본궤도에 올라섰다.
경기도는 지난 2016년부터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빈집 실태조사비와 빈집 정비계획 수립비를 지원하며, 정비계획수립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배포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해왔는데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빈집 정비계획수립이 완료된 용인시와 수원시, 고양시, 이천시 등 4개 시 빈집 86호를 대상으로 철거, 보수, 안전조치를 지원한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이들 4개 시 등 10개시는 정비계획 수립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시의 계획 수립도 연내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빈집 정비지원사업에는 총 13억2500만원(도비 30%, 시비 70%)의 예산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빈집 철거 시에는 최대 1000만원까지 비용을 지원하며, 철거 후 공공활용 시에는 2000만원까지 지원을 확대한다.
보수를 할 경우에도 최대 1000만원 지원(공공활용 최대 3000만원)하며, 안전조치 비용은 600만원까지 지원한다.
도는 빈집 전수 실태조사를 이달 중 마무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형 빈집활용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올해는 총사업비 65억원을 투입, 경기주택도시공사가 남부·북부 각 1개소씩 빈집을 매입해 임대주택 및 주민 공동이용시설을 공급한다.
현재 공모신청 접수 중으로, 참여를 원하는 도민은 빈집 소재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오는 22일까지 참여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빈집 확산방지와 방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도민과 빈집 소유자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빈집은 총 5132호로 단독주택이 3529호로 69%를 차지하고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