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구 흑석동과 동대문구 용두동, 관악구 봉천동 등 재개발구역 8곳에서 공공재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성사되면 공공임대·일반분양 3000가구 이상이 서울에 추가 공급된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 8곳을 선정해 15일 발표했다. 지난해 공모한 60곳 중 이미 정비계획안이 마련돼 있고, 사업 시급성과 공공성·실현 가능성이 큰 8곳을 최종 선정했다.
후보지는 동작구 흑석2, 영등포구 양평13·14, 동대문구 용두1-6·신설1, 관악구 봉천13, 종로구 신문로2-12, 강북구 강북5 구역이다. 모두 역세권에 있는 기존 재개발구역으로, 사업성 부족과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정비구역 지정 이후 사업이 평균 10년 이상 정체됐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공공시행자로 개입해 추진하는 재개발 사업이다. 정부가 용적률 상향·분양가상한제 면제 등 각종 규제 완화 혜택을 주는 대신, 새로 건설되는 주택 중 조합원 분양분을 제외한 물량 중 절반을 공공임대·수익공유형 전세로 내놔야 한다. 남은 절반은 일반분양한다.
후보지 8곳의 기존 세대 총 1704가구는 재개발이 이후 4763가구로 3059가구 늘어날 예정이다. 특히 흑석2구역의 경우 준주거지역에 있는 데다 상가가 밀집해 있어 기존 세대수는 270가구에서 1310가구로 5배 가까이 불어난다.
서울시는 공공재개발 특례가 적용된 정비계획을 수립해 연말까지 후보지를 '공공재개발 정비구역'으로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LH와 SH는 후보지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후보지 검토 시 수립한 개략적인 정비계획과 이를 기반으로 도출한 예상 분담금, 비례율 등 사업성 분석 결과를 설명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