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올해 시정 운영 목표를 ‘시민 안전’과 ‘경제활력 제고’에 두고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부산시는 코로나19 확산과 시장 공백이라는 사상 초유의 위기 속에서 코로나 위기 대응 체계 구축하고 김해신공항 건설 백지화, 국제관광도시 선정, 외국금융기업 유치, 2030 부산 엑스포 공식 유치 선언, 역대 최대 국비 확보 등 성과를 이뤘다. 하지만 올해 감염병 충격 여파로 지역경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인구 유출과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사회구조 변화의 가속화도 예상된다.
이에 부산시는 시민 안전, 경제활력, 해양수도, 사람 중심, 포용복지를 핵심 가치로, 혁신 성장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는데 행정력을 총동원한다. 코로나 치료를 위한 병상과 생활치료센터, 운영인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임시선별검사소와 찾아가는 이동식 선별검사소 운영을 통해 무증상 감염 고리를 사전에 차단할 예정이다.
공공의료 사각지대를 막아 줄 서부산의료원 건립 등도 차질 없이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다음으로 생산·소비·고용 등 실물경제 3대 지표 회복을 통한 경제 정상화와 과감한 경제 체질 개선 등 경제활력 제고에 나선다.
단기적으로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 피해지원 대책과 연계해 시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한 2200억원 규모의 ‘부산형 재난지원금’ 지급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한국판 뉴딜사업과 연계한 24조원 규모의 부산형 뉴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아울러 시는 가덕신공항 건설, 2030 부산 월드엑스포 유치,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 북항 통합개발, 차량기지 이전 등 부산 대개조, 국제 관광도시 조성 등 현안도 추진한다.
이어 2050 탄소 중립 실현을 통한 친환경생태도시 조성, 취수원 다변화 등 맑은 물 확보,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활성화와 인프라 확충, 서부산권 개발을 통한 동·서 균형 발전 추진에도 힘쓴다.
마지막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안전망 확충과 사회안전망 확충, 2022년까지 공적임대주택 5만1000호 공급 등 주거복지를 실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