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방파제와 테트라포드에서 발생하는 추락 사고 비율이 날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동해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강원 고성~경북 경주 지역 방파제와 테트라포드에서 발생한 추락사고는 2018년 26건, 2019년 25건 2020년 27건으로 집계됐다.
동해안 연안에서 같은 기간 발생한 전체 안전사고는 122건→97건→83건으로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방파제·테트라포드 사고의 비율은 더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낚시를 즐기는 사람이 늘면서 방파제를 찾는 이들이 증가, 추락사고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새해에만 4건의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방파제 테트라포드 추락 사고는 생명을 잃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방파제 주변에 설치된 테트라포드는 표면이 둥글고 미끄러운 데다 지지대와 손잡이가 없다. 추락하면 스스로 빠져나오기 힘들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5명과 3명이 방파제와 테트라포드에서 떨어져 숨졌다.
해경은 자치단체와 협조해서 방파제 주변에 안전관리 시설물 설치하고 낚시객에게 구명조끼를 무료로 대여해주는 등의 노력으로 2020년에는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동해해경청은 “방파제·테트라포드 추락 사고 비율은 동해안 연안에서 발생하는 전체 사고 대비 증가하고 있다”면서 “관광객과 낚시객이 추락사고 위험성을 크게 인지하지 못하는 만큼 순찰과 홍보를 통해 적극적으로 계도하겠다”고 밝혔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