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한 달여 앞두고 별도의 예방접종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선규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장은 13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백신의 종류가 다양하고 기존에 하던 예방접종과 다른 측면이 있어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도입되는 코로나19 백신 가운데 2회 접종해야 하는 제품이 있는 데다 교차접종 방지가 필요한 부분도 있어 기존 국가예방접종시스템과는 별개의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는 “기저질환자, 만성질환자에 대해서는 정보를 연계해 안전한 접종을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협의를 진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새 시스템에는 기존의 접종증명서 발급 시스템도 들어간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서를 ‘백신 여권’처럼 쓸 수는 없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백신 여권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일종의 ‘디지털 증명서’다.
이 과장은 백신 여권과 관련한 질의에 “백신 여권과의 연계는 아니고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라면서 “(백신 여권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른 부분이라 이런 요구가 있다면 정부 차원에서 검토해야 한다”고 답했다.
질병청은 다음 달부터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와 요양병원·시설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한 뒤 접종 대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우선접종 권장대상이 아니었던 19∼49세에 대해서도 3분기부터 접종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3분기에 백신 물량이 다수 공급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일부 공공기관에서 백신을 먼저 맞겠다고 로비를 했다는 보도에 대해 이 과장은 “로비는 아니고 의견 개진”이라며 “공문이나 공식적 경로를 통한 의견 접수라고 보면 되겠다”고 답했다.
그는 “예방접종 우선순위는 과학적 근거와 방역적 우선순이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어떤 근거나 이유로 결정됐는지 투명하고 정확하게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질병청은 14일 열릴 당정 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계획 등 그간의 추진 상황을 설명할 예정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