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글로벌모터스 근로자·지역 상생 외면하나

입력 2021-01-13 11:36 수정 2021-01-13 17:10

‘복지는 손 놓고 자료제출은 거부하고...’

광주형 일자리 1호 광주글로벌모터스(GGL)를 둘러싼 잡음이 일고 있다. 근로자들에 대한 복지혜택에는 소홀하고 지역 업체와 상생은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시가 최대 주주인 이 회사는 시의회 산업건설위 증인출석과 자료제출까지 거부했다.

13일 광주시와 GGM에 따르면 4월 경형 스포츠유틸리티 완성차 시험 생산에 이어 9월부터 7~10만대 본격 양산 체제를 가동하기 위한 생산설비 설치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인력 채용도 활발하다. 지난해 임원 6명, 경력직 137명에 이어 올해 생산직 신입사원 등 1000여 명을 추가 선발한다.

하지만 ‘반값 연봉+복지혜택’을 뼈대로 한 광주형 일자리 실현에는 소극적이다. 막대한 예산으로 차체와 도장, 조립 공장을 짓고 있지만 복지 기반 구축은 제자리걸음이다.

근로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800세대의 임대주택 건립은 기본계획도 세우지 못했다. 광주형 일자리 복지사업의 핵심으로 국비 216억 원을 들여 건립하는 노사동반성장지원센터는 3월 착공, 2023년 12월 완공 예정이지만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작은 도서관을 겸한 개방형 체육관과 진입도로 6.5㎞ 개설사업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GGM을 포함한 빛그린산단 입주기업 근로자 자녀를 위한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만 올해 상반기 건물신축 공사를 마치고 보육교사 등 인력 채용에 나선다.

반면 200억 원대 태양광발전 임대사업은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해 입찰 참가자격을 과도하게 까다롭게 만들었다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업체가 단 한 곳밖에 없는 데도 단일 시공실적 10㎿ 이상으로 참가자격을 처음 공고했다가 특혜시비가 일자 5㎿로 기준을 낮춰 재공고하는 우여곡절을 거쳤다. 하지만 업체선정을 위한 나머지 평가항목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빛그린산단에 신축 중인 완성차 생산공장 건물 지붕 4만8540㎡에 설치용량 3.7㎿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수익을 올리는 임대사업을 둘러싼 각종 잡음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10여 개 업체가 군침을 흘린 구내식당 운영도 수도권 대형업체만 참여하도록 입찰기준을 사실상 제한해 지역 업체와의 상생을 도외시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GGM은 지난해 말 최초 입찰공고 과정에서 2019년 기준 순수 단체급식 매출 3000억 원 이상, 최근 2년 이내 신용등급 ‘B 이상’으로 참가자격을 묶어 지역 업체를 원천 배제했다. 결국 지난 11일 대기업체가 운영자로 낙점됐다.

그뿐만 아니라 GGM은 광주시의회 증인출석과 자료제출 요구도 거부해 최대 주주인 광주시민을 무시하는 게 아니냐는 반발을 샀다.

시의회는 지난해 11월 행정사무 감사에서 GGM과 광주시 우회 투자기관인 그린카진흥원 임원진이 산업건설위 증인 출석·관련 자료 제출을 전면 거부하자 유감을 표명하고 2021년 관련 예산 삭감 등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시의회는 13일 성명을 내고 “GGM은 지역기업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시민들의 성원과 관심 속에 설립된 GGM이 지역기업을 배려하기 보다는 과도한 자격 제한으로 그 기회를 빼앗고 있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지역사회의 요구를 무시하고 일방적인 의사 결정을 계속하면 사업 성공을 바라는 시민들과 모든 수단·방법을 동원해 경영진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어떤 기대와 사명감 속에서 탄생한 기업인지 명심하고 회사를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노사민정 대타협을 전제로 500억 원 가까운 혈세가 투입돼 5년여 진통 끝에 어렵사리 탄생한 GGM은 시민 모두가 주인인 회사”라며 “단순한 이익 추구에서 벗어나 지역 상생의 근본 취지를 살리고 광주 공동체 문화형성에도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