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관이 자신의 SNS에 김치 담그는 사진과 함께 김치를 권하는 글을 올렸다. 김치를 중국 음식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은 없었지만 중국 관영매체의 파오차이 논란과 중국 유튜버의 ‘중국 전통음식’ 주장에 이어 외교관까지 김치를 선전하면서 중국의 ‘김치공정’이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커지고 있다.
장쥔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지난 3일 자신의 트위터에 직접 담근 김치를 든 사진과 함께 “즐거운 겨울을 지내는 방법 중 하나는 직접 만든 김치를 맛보는 것”이라며 “만들기 어렵지 않고 제 동료들도 정말 맛있다고 한다”고 적었다.
이에 장 대사가 트윗을 올린 의도에 대해 한국의 겨울철 김장 문화를 중국의 일상인 것처럼 소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이어졌다. 일부 네티즌은 “한국의 전통음식인 김치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하다” “한국문화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 반갑다”며 김치가 한국의 음식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앞서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지난해 11월 쓰촨의 염장채소 음식인 파오차이가 국제표준화기구(ISO) 인가를 받았다면서 김치 종주국인 한국이 굴욕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9일에는 구독자 1400만명을 보유한 중국 스타 유튜버 리쯔치가 김장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올리면서 ‘중국음식’(#ChineseFood)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논란을 일으켰다.
김유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