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면역기간·재접종 불확실성…물량 추가 확보 검토”

입력 2021-01-11 16:25 수정 2021-01-11 16:26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의 항체 지속 기간, 백신 계약 차질 등의 변수를 고려해 추가 물량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이날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열고 “좀 더 안정적인 백신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물량 확보에 대해 계속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현재 계약한 물량은 5600만명분으로 전체 국민으로 따지면 100%가 넘는 물량이고, 또 허가연령인 청소년을 제외한 4400만명 인구 대비로 하면 120% 정도가 넘는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면역이 어느 정도 지속될지, 추가 접종이나 재접종 등 여부에 따라 불확실성이 있다. 기존 계약 백신도 공급이나 허가 관련 이슈들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8일 백신 공급 계획을 발표하며 다국가 연합체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로부터 1000만명분, 다국적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등과 각각 1000만명분, 얀센과 400만명분 등 총 4400만명분의 백신을 선구매하기로 했다.

이후 공급 물량 차질 등의 가능성에 대비해 물량을 더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12월 24일 얀센으로부터 200만명분을 추가 확보했고, 12월 31일에는 모더나와의 협상을 통해 1000만명분의 백신을 더 공급 받기로 했다.

이로써 현재까지 정부가 선구매 계약 등으로 확보한 백신 물량은 총 5600만명분이다.

정부는 2월 말 우선 접종 권장 대상자 중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요양병원·시설 등 집단시설 거주 노인 등부터 예방접종을 시작해 순차적으로 이를 전 국민에게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청소년 및 영유아의 경우 안전성·윤리성 등을 이유로 임상시험이 진행되지 않았거나 이제 시작 단계에 접어들어 백신 접종 허가연령에 포함되지 않는다.

백신별 공급시기, 효과성, 접종 및 유통 보관 방법 등을 고려하고 예방접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상자별 세부 일정을 구체화해 이달 중 확정할 예정이다. 예방접종 시행계획안은 8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및 감염병관리위원회에서 검토한 상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