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쓰레기매립지가 위치한 인천 서구에서 용역결과 자원순환센터(소각장) 후보지 3곳이 나왔다.
11일 인천시와 서구에 따르면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의 반대로 시가 관리하는 광역시설인 청라소각장의 현대화사업이 차질을 빚음에 따라 시가 제시한대로 자원순환센터 후보지 3곳을 찾아 지난 12월 시에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구는 용역결과를 근거로 6000평, 7000평, 1만평 규모의 자원순환센터 예비부지 3곳을 시에 제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2월중 논의를 본격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청라소각장 현대화사업은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의 반발과 지역 정치권의 요청에 따라 사실상 무산된 상황이다.
한때 경서동 쓰레기 적환장이 예비후보지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경서동 쓰레기 적환장을 청라소각장 대체부지로 확정해 논의하거나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서구의 해명이다.
서구는 광역소각장의 경우 현행법상 모든 결정 권한이 인천시에 있기 때문에 서구는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해답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천시와 업무를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서구는 오는 2월 임시 시민위원회 성격의 ‘서구 자원순환 선진화 시민추진단’을 본격 구성해 지난 12월 말 인천시에 서구 의견으로 제시한 자원순환 연구용역 결과에 있어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는 부분과 관련, 구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소통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청라국제도시 주민들로 구성된 청라국제도시총연합회측은 청라소각장 폐쇄 이전을 위해 끝까지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서구가 제시한 시설용량이 199.7t에 불과해 광역소각장이 요구하는 420t과는 차이가 너무 커 시설규모에 대한 입장차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구는 재활용률을 높이고 쓰레기 봉투를 뜯어 선별을 할 경우 쓰레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전국 어디에도 재활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인 곳이 없고, 국가목표보다도 지나치게 높아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인천시에는 현재 청라소각장 등 소각장이 2곳뿐이고, 청라소각장은 2002년 1월부터 가동을 시작해 현재 1일 350~400t을 태우고 있다. 앞으로도 새로운 소각장을 짓는 과정에서 최소 4년 이상 더 가동해야 하는 상황이다.
청라소각장은 500t 규모이고, 개보수를 거칠 경우 1일 420t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관계자는 “경서동 후보지 등 3곳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거쳐 이르면 이달말쯤
규모와 방향에 대한 시의 입장을 서구에 통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