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연초부터 시·군 통합 둘러싼 공방으로 ‘후끈’

입력 2021-01-10 15:59 수정 2021-01-10 16:05
2013년 6월 전주와의 통합 찬반을 묻는 완주군민 주민투표, 연합뉴스.

전북지역 자치단체들이 연초부터 ‘시·군 통합’을 둘러싼 공방으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송하진 지사가 신년 기자회견에서 ‘광역도시 구상안’을 던진 뒤 해당 지역 단체장과 정치인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 같은 공방은 향후 전북 발전을 두고 행정구역 통합론과 산업경제 연계론이 충돌하며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이다.

논란은 송 지사가 지난 5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초광역권 행정권역에 대한 구상에서 시작됐다.

송 지사는 이날 “광역도시가 없는 설움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전주·완주 통합에 플러스 알파(α), 때로는 익산이 포함된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군산, 김제, 부안과 새만금을 묶는 광역화 작업도 이뤄지면 좋겠다”며 “이럴 경우 도 출장소나 제2 도청사를 설치할 수 있다”고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혔다.

송 지사의 발언은 전북이 전국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광역화가 필요한 만큼 이를 진지하게 논의할 때라는 의미로 읽힌다.

그러나 통합 대상으로 언급된 지자체와 정치인들은 반대 입장을 내놨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7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전북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행정과 생태 중심의 전주권 광역도시, 익산과 새만금권을 묶는 물류 중심의 새만금 광역도시로 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주·완주와 익산을 묶어보자는 송 지사의 구상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익산이 전주권으로 묶이면 변방 전락 가능성이 있으니 군산과 김제 등을 아우르는 새만금 광역도시에 포함시켜 교통 중심지인 장점을 살려 핵심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2013년 6월 실시된 전주와의 통합 찬반을 묻는 완주군민 주민투표, 연합뉴스.

완주를 지역구로 둔 안호영 국회의원도 이날 “군민 의사와 상관없이 또다시 행정통합 논의를 꺼내는 것은 갈등만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일축했다. 안 의원은 “그동안 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수차례 있었지만, 가장 최근인 2013년 6월에도 완주군민은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며 “주민 공감대 없이 정치적 이해관계로 접근하는 방식은 적절치 않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박성일 완주군수도 “전주와 통합은 완주 군민의 뜻에 따라야 한다”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은 1997년과 2009년, 2013년 등 세 차례 시도됐으나 모두 무산됐다. 2013년 송하진 당시 전주시장과 임정엽 완주군수가 통합을 추진했으나 주민투표 결과, 완주군민 투표자의 55%가 반대표를 던져 수포로 돌아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