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9개월 만에 긴급사태를 다시 선포한 가운데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으로 7000명대를 이어갔다. 수도권에 국한된 동시에 봉쇄 대신 자숙을 요청하는 느슨한 대책이라 언제쯤 확산세가 잡힐지 미지수다.
10일 NHK방송에 따르면 전날 일본 전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7790명이었다. 하루 7882명으로 가장 많은 감염자가 나온 지난 8일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많은 수치다. 이 같은 확산세는 도쿄 등 수도권에 긴급사태가 다시 발령된 지난 7일 이후에도 하루 7000명대로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긴급사태 재발령에도 일본인들의 경계심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업체 NTT도코모에 따르면 수도권에 긴급사태가 재발령된 뒤 첫 주말인 지난 9일 정오를 기준으로 긴자, 시부야, 신주쿠 등 도쿄 번화가의 유동 인구는 감염 확산 전과 비교해 30∼40% 줄어드는 데 그쳤다. 1차 긴급사태가 발령됐던 지난해 4월에는 유동인구가 70%가량 급감한 바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자숙을 요청하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게 일본 언론의 분석이다.
실제 스가 요시히데 정부가 내놓은 이번 긴급사태 선포는 ‘강제’보다는 ‘자발적인 행동’에 방점이 찍혀있다. 일본 정부와 지자체는 긴급사태가 선포된 지역 주민들에게는 외출 자제를, 음식점 등 업소에는 오후 8시로 영업시간 단축 등을 요청하고 있다. 지침을 따르는 업소는 하루 최대 6만엔의 보상금을 받는다.
하지만 광범위한 업종에 휴업 등을 요청한 1차 긴급사태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음식점을 통한 감염 확산 방지에 초점이 맞춰졌고, 초·중·고교의 일제 휴교는 요구하지 않았다. 오는 16∼17일 치러지는 대학 입시 공통테스트 등 대학 입시 일정도 원래대로 진행된다. 스포츠 경기 등 이벤트도 취소 대신 방역 대책을 전제로 수용 능력의 50%나 5000명 이하로 낮추기로 했다.
다만 일본 정부는 감염 확산에 제동이 걸리지 않으면 한 달로 예정된 긴급사태를 연장하고, 대상 지역도 넓힐 것으로 보인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