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8일 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재의 방역조치를 완화하기 위해선 신규 확진자 규모를 400~500명대로 줄여야 한다고 판단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환자 발생이 느리지만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다”면서 “최근 한 주간 국내 지역발생 환자 수는 700명대 수준으로 낮아졌다. 정점을 지나 감소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674명으로, 지난 3일(657명) 이후 닷새 만에 600명대로 떨어졌다. 주간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기준(전국 800명∼1000명 이상) 아래로 내려왔다.
윤 반장은 다만 “지역사회에서 확대된 감염 양상을 고려하면 앞으로 감소 추세는 완만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겨울철이라는 계절적 요인이 여전하고 변이 바이러스 등 위험 요인도 많아 긴장의 끈을 풀기에는 아직 조심스러운 국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가 적용되는 이달 17일까지 국민 개개인이 나서 방역 긴장감을 유지하고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윤 반장은 “오랜 기간 이어진 거리두기로 사회적 피로감이 곳곳에 누적돼 있고 지금처럼 일상과 생업을 크게 제약하는 조치를 오래 이어나가기란 쉽지 않음을 잘 알고 있다”면서 “앞으로 열흘간 확실한 감소 국면을 만들어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일부 실내체육시설에서 생계 곤란, 형평성 등의 이유로 집합금지 해제를 요구하자 이날부터 9명 이하의 만 19세 미만 아동·학생을 교습하는 모든 실내체육시설의 운영을 허용했다.
그러나 대부분 성인이 이용하는 헬스장 등에선 실효성이 없다는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헬스장이나 노래연습장 등 수도권에서 집합금지 조처 중인 10종의 시설에 대해서는 17일 이후부터 영업이 허용될 것으로 보인다.
방역조치 완화를 위해서는 신규 확진자 규모를 400∼500명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방역 조처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발생 규모를 어느 정도 줄여야 하냐는 질의에 “400∼500명 정도 이하까지 떨어트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최근 다중이용시설을 고리로 한 감염보다는 개인 간 접촉으로 인한 감염 비중이 늘어나는 점을 언급하며 “필요한 부분은 조치를 강화하거나 유지하고, 위험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현실적 부분을 반영하는 쪽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