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친문으로 불리는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이 미국행을 앞두고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과 함께 약 3시간 동안 저녁 식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전 원장은 지난 5일 오후 6시쯤 서울 종로구의 한 한정식집에서 김 원내대표, ‘문재인 대통령의 호위무사’로 통하는 최 정무수석과 만나 식사를 했다. 세 사람은 코로나 방역방침에 따라 식당 영업 제한 시간인 오후 9시 무렵까지 이야기를 나누다 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더팩트 보도에 따르면 식당 주인은 “김 원내대표가 식사 비용을 카드로 결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만남은 양 전 원장의 미국행을 앞두고 이뤄졌다. 문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양 전 원장과 거대 여당의 원내대표, 현직 청와대 정무수석이 어떤 대화를 나눴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양 전 원장은 정권 창출에 기여한 대통령 최측근 참모가 집권 후 아무런 공직을 맡지 않은 사실상 첫 사례가 될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양 전 원장과 가까운 한 여권 인사는 “양 전 원장이 총선 직후 외국의 대학 몇 곳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방문교수로 나갈 계획이었으나 코로나 상황으로 출국하지 못했다”며 “최근 다시 그를 초청한 해외 연구기관이 있어 당분간 정책연구 활동에 전념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앞서 양 전 원장은 지난해 말 노영민 비서실장 교체설이 나오면서 청와대 참모들과 친문 인사들로부터 공직을 제의받았지만 계속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비서실장직 고사에 문 대통령의 ‘정책·경제 콘셉트 비서실장’ 구상이 더해져 유영민 비서실장 카드가 나왔다는 분석도 나온다.
양 전 원장은 문재인정부 출범 직후 “내 역할은 끝났고 이제 잊힐 권리를 달라”며 공직을 맡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대선 후 미국과 일본 등을 오가며 2년여간 방랑생활을 한 양 전 원장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원장을 맡아 여당의 압승을 견인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양 전 원장은 총선 다음 날 “이제 다시 뒤안길로 가서 저녁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조용히 지내려 한다”며 다시 당을 떠났다.
양 전 원장은 당분간 해외에 체류하며 정치권과 거리를 둘 예정이다. 다만 친문 그룹 내 리더십으로 비춰볼 때 그가 대선 정국에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