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3대 통신사, 뉴욕증시서 결국 상폐… “불합리” 반발

입력 2021-01-07 04:52 수정 2021-01-07 10:19

중국 3대 통신사의 상장폐지를 결정했다가 이를 철회한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결국 상장폐지로 다시 유턴했다.

NYSE는 6일(현지시간)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 3개사를 뉴욕증시에서 퇴출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3개 통신사에 대한 상장폐지를 예고했다가 나흘 만인 이달 4일 추가 협의를 거쳐 상장폐지를 하지 않는다고 밝힌 데 이어 또다시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 것이다.

NYSE는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새 지침에 따르기 위해 다시 결정을 번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인들은 오는 11일부터 이들 3개사의 특정 거래에 관여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중국군과 연계된 기업에 대한 미국인들의 투자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행정명령에 앞서 미 국방부는 이들 3개 국영 통신회사를 중국군과 연계된 기업 명단에 올린 바 있다.

OFAC의 지침 변경을 공식 이유로 들었지만, NYSE의 이날 번복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등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 때문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AP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므누신 장관은 NYSE의 스테이시 커닝햄 최고경영자(CEO)에게 전화를 걸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 3개사에 대한 당초의 상장 폐지 결정이 번복된 데 대해 반대 의견을 전달했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미국 행정부의 반응에는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과 로버트 오브라이언 국가안보보좌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등도 관여했다”며 “NYSE의 오락가락하는 행보는 작년 11월 중국군과 연계된 기업에 대해 투자를 금지하는 행정명령 등 일련의 정책을 둘러싸고 금융시장에 혼란을 심어놓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자국 통신사들의 뉴욕증시 퇴출 소식에 중국 당국은 강하게 반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보도 직후 성명을 내고 미국을 향해 “불합리한 억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상무부는 또 “상장폐지 조치가 소비자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며 중국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최종 결정에 앞서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미국 일부 정치 세력이 근거 없이 미국 증시에 상장된 외국 기업을 억압하는 것은 미국의 법규와 제도의 임의성과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미국의 국익과 이미지, 국제 투자 시장에서의 미국의 지위를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