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론에 즉답 피한 박병석 “국민통합은 시대적 요구라고 확신”

입력 2021-01-06 20:29


박병석 국회의장은 6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기한 전직 대통령 사면과 관련해 “입법부의 장으로서 공개적 언급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민통합은 2021년 시대적 요구라고 확신한다”고 말해 우회적으로 이 대표의 ‘사면론’에 힘을 실은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박 의장은 이날 신년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관련 질문을 받고 “사면권은 헌법상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 대표가 새해 벽두부터 꺼내든 ‘사면 카드’가 여권 핵심지지층의 반발에 부딪히는 등 여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즉답을 피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박 의장의 방점은 ‘국민통합’에 찍혔다. 박 의장은 기자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짙게 배인 진영논리를 걷어내고 이념의 과잉을 털어내야 한다”며 “진영과 이념을 뛰어넘어 국민 삶의 질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사구시의 정치로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의장은 또 “국민은 타협의 정치 복원을 요구하고 있다”며 “국민 먼저, 국익 먼저 살피는 정치가 절실하다”고 했다. 이어 “국민통합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해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로 ‘국민통합위원회’를 구성하고자 한다”며 “이 위원회에서 갈라진 국민 여론을 녹여내는 국민통합의 용광로 역할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헌 논의에도 불을 지폈다. 박 의장은 “국민통합의 궁극적인 제도화 완성은 개헌에 있다고 본다”며 “권력구조를 개편해 균형을 이룰 때 갈등을 지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개헌을 통해서 권력 분산을 이뤄야 하고, 국회가 권한 일부를 가져올 때 다양한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표를 얻은만큼 의석을 갖는 제도가 돼야 한다”며 “제도적 장치는 개헌과 선거제도의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