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사들이 분류작업 인력의 추가 투입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CJ 대한통운이 일산동구·여수·강북·강서·노원·동대문·양천·세종 등에서 분류작업 인원만 발표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며 “이는 예전부터 기사들이 비용을 부담해 투입한 인력”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한진택배와 롯데택배에 대해서도 “1000명의 분류 작업 인력을 투입한다고 발표했으나 사실상 지금까지 투입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택배 물량이 폭증하는 설날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택배·우체국 노동자들의 과로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택배사의 합의 파기와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로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택배사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CJ대한통운 측은 “지난해 12월 말 15개 서브터미널에는 현재 228명의 지원 인력이 일하고 있다. 이 중 102명은 지난해 10월 택배 종사자 보호 종합 대책 발표 이후 투입됐다”면서 “11월 이후의 비용은 회사와 집배점 협의에 따라 정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편 공공운수노조 전국민주우체국본부도 이날 서울 광화문 우체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쏟아지는 택배에 노동자들은 밤새워 구분 작업을 하고 집배원은 한파에도 밤낮으로 배달을 나가야 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노조는 “우정사업본무가 비용 절감에만 몰두하다 보니 구분 인력을 확대하지도 않고, 위탁 택배원의 담당 물량 개수도 늘리지 않고 있다”며 “구분 인력 확충과 위탁 택배원 물량 통제 중단, 집배원 고중량 소포 전가 금지 등 현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대안을 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과로사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한지 2년이 지났지만, 지난해 집배원 19명이 사망하는 등 매년 사망 통계는 줄지 않고 있다”며 “이번 설날까지 버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유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