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3일 연속 현장 경영에 나서며 ‘미래 먹거리’ 발굴을 집중적으로 주문했다. 선두기업인 삼성전자가 미래 기술 확보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6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삼성리서치를 방문해 “미래기술 확보는 생존 문제”라며 “오로지 회사의 가치를 높이고 사회에 기여하는 데 전념하자”고 말했다. 또 “선두기업으로서 몇십 배, 몇백 배 책임감을 갖자”고 독려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리서치에서 세트부문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고 차세대 6G 통신 기술과 인공지능(AI) 연구개발 현황 등 미래 중장기 전략을 점검했다.
이 부회장은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 경과, 서버용 기술 확보, AI 기술 제품 적용현황 등을 보고 받았다. 회의에는 김현석 CE부문장, 고동진 IM부문장, 최윤호 경영지원실장, 세바스찬 승 삼성리서치 연구소장 및 각 사업부 담당 사장들이 참석했다.
지난 4일부터 3일 연속 현장 경영을 이어간 이 부회장이 점검하고 있는 분야는 파운드리, 6G, AI 등 차세대 사업과 관련된 것들이다. 이 부회장은 4일 평택 반도체 공장, 5일 수원 네트워크사업부와 글로벌 기술센터를 방문했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 스마트폰, TV 등 현재 삼성전자 실적을 이끌고 있는 주력 제품 이후 차세대 사업을 키워야 한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코로나19로 시장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성장 동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30일 파기환송심 결심공판 당시 “유럽과 미국의 통신업계 선두기업들의 몰락과 중국 기업들의 무서운 추격을 보면서 위기감을 느낀다”며 “회사 가치를 높이면서 사회에도 기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한 초일류 기업, 지속가능한 기업을 만들겠다”고 다짐한 바 있다.
삼성은 2018년 8월 ‘180조원 투자, 4만명 채용 계획’을 발표하면서 AI, 5G, 바이오, 반도체 중심의 전장부품을 ‘4대 미래 성장사업’으로 선정하고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이 부회장은 2018년 3월 경영 재개 직후 첫 해외 출장지로 유럽과 미국을 다니며 AI 석학들을 만나고 핵심 인재 영입에도 나섰다.
차세대 이동통신도 이 부회장이 10년 앞을 내다보고 육성해온 사업 중 하나다. 이 부회장은 2011년 3G 기술이 확산하던 당시 5G 기술을 전담할 차세대 통신연구조직 신설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