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도 예외없다’더니…홍콩보안법, 美변호사 체포

입력 2021-01-06 14:13 수정 2021-01-06 14:36
홍콩의 반중 매체 빈과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중앙 왼쪽)가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지난해 12월 31일(현지시간) 최고법원인 종심법원에서 구치소로 호송되고 있다. AP 연합뉴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당국의 언론, 시민사회 옥죄기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관련 혐의로 외국인이 체포되는 일이 벌어졌다. 홍콩 현지 로펌에서 활동하는 미국 국적 변호사다.

6일(현지시간) AFP, 로이터 통신 등은 이날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무더기로 체포된 인사 가운데 미국 시민이 있다고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AFP에 현지 로펌 호쓰와이앤드파트너스의 사무 변호사인 존 클랜시가 ‘국가 전복’ 혐의로 체포됐다고 전했다. 홍콩 경찰 관계자를 통해서도 클랜시의 체포 사실은 확인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이날 경찰에 연행된 인사는 우치와이 전 주석, 홍콩 제1 야당인 민주당 인사 최소 7명과 앨빈 융 공민당 주석, 베니 타이 홍콩대 교수 등 범민주 진영 인사 50명가량이다. 지난해 9월 6일 예정됐던 입법회(홍콩 의회) 의원 선거를 두 달 앞두고 5개 지역구별 야권 단일후보를 정하는 비공식 예비선거를 조직하고 참여해 국가 전복을 꾀했다는 게 이들의 혐의다.

2014년 민주화 시위를 주도하고 지난해 민주당 예비선거를 도입하는데 앞장섰던 베니 타이(가운데) 홍콩대 교수가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6일 경찰에 연행되고 있다. AP 엲바뉴스

지난해 6월 30일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 혐의를 다루며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한다.

홍콩 민주화운동가 조슈아 웡(24), 아그네스 차우(23) 등이 관련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대표적인 반중(反中) 매체 빈과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73)도 홍콩보안법상 외세 결탁 혐의로 체포돼 보석 석방됐다가 새해 재수감됐다.

그간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이 보안법이 홍콩의 자치권과 민주주의를 훼손한다며 중국을 규탄하고 제재해 왔다.

지난해 12월 31일(현지시간) 반중 매체 빈과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가 보석 취소로 재수감되자 호송차 옆에서 지지자들이 '홍콩 사법부는 죽었다'라고 쓰인 팻말 등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