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부품 클러스터단지 ‘부산형 일자리’…정부 공모

입력 2021-01-06 14:02
코렌스 본사 전경. 윤일선

정부가 추진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공모사업에 부산시가 ‘부산형 일자리’ 모델을 최종 신청하면서 선정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현 정부는 지난해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밀양형, 강원형 일자리를 선정한 바 있다.

부산시는 정부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 공모사업에 ‘부산형 일자리’ 모델을 신청했다고 6일 밝혔다.

부산형 일자리는 글로벌 전기차 부품 클러스터 단지를 만들어 일자리와 지역 발전을 꾀하는 ‘노사 및 원·하청 기술 상생 모델’이다. 차세대 전기차용 파워트레인 생산업체인 코렌스EM(E-모빌리티)과 협력사 20여 곳이 부품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2031년까지 전기차 구동 유닛 500만대를 생산하며 4300명의 일자리를 만든다. 이 단지는 부산 신항만 인근 국제산업물류도시 26만4463㎡ 부지에 7600억원을 투자해 글로벌 탑(TOP)3 미래 차 부품 수출 전진기지로 건설한다.

코렌스EM은 독일 글로벌 완성차업체와 공동으로 전기차 구동 유닛 기술을 개발해 ‘영구자석(희토류)에 의존하지 않는 권선계자형(WRSM) 모터’ 양산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구동 유닛 생산·연구시설을 지난해 3월 착공해 오는 3월 말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4월부터 시제품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부산시는 공모 신청서에 이 같은 부산형 일자리 핵심 사업요소와 협약 이행계획, 일자리 창출 계획, 사업 타당성, 관련 국비 사업 등을 담았다. 사업 선정 여부는 1월 중 민관합동지원단 현장실사와 산업부 상생형 지역일자리심의위원회 최종 의결을 거쳐 결정된다.

정부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은 지역 노사민정이 상생협약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정부와 지자체가 행·재정 패키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현재 동남권은 전국 대비 자동차산업 비중이 가장 크지만, 산업구조는 내연기관 차량에 편중돼 미래 차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면서 “동남권 자동차 부품사의 부산형 일자리 참여를 지원하고 부품 생태계를 조성하는 등 동남권 상생협력을 추진해 미래 차 산업 경쟁력을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