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철거 예정인 대전역 앞 쪽방촌에 대한 기록화 작업과 함께 지역 산성(山城) 관련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올해 지역 문화유산 정책 슬로건을 ‘포용하고 함께하는 문화유산도시 조성’으로 설정했다고 6일 밝혔다.
올해 문화유산 정책은 문화재의 활용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췄다.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엄격한 물리적 보존에 가치를 뒀던 과거와 달리 활용 가치를 높여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대전시 등록문화재 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된다.
등록문화재는 소유자의 자발적인 보존의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용이 보장되는 유연한 보호제도다. 레트로 열풍을 타고 많은 관심을 받는 동구 소제동의 철도관사촌, 특이한 외관의 1950~1960년대 근현대 건축물을 보호·활용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됐다.
철거가 예정된 지역 명소의 기록화 사업도 추진된다.
지난 2018년부터 ‘도시기억프로젝트’를 추진한 대전시는 전국 최초로 재개발 지역에 대한 3D 스캐닝 작업을 시도하고,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피난민들의 생활공간이었던 중앙시장 해방촌의 건축조사를 진행했다.
올해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조만간 철거되는 대전역 앞 쪽방촌의 기록화 작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시는 이와 함께 동구 이사동에 대한 활용 사업을 비롯해 지역 산성(山城) 관련 정비사업도 실시한다.
이사동은 대덕구 송촌동과 함께 지역의 대표 사족(士族)인 은진 송씨의 집성촌이다. 한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검토됐을 정도로 보존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산성 사업의 경우 현재 진행 중인 계족산성 종합정비 사업을 지속하고, 월평동산성 등 산성·보루 7곳을 대상으로 ‘산성종합정비계획 용역’을 추진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사동은 보존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 지역사회 안팎에서 다양한 논의가 있었던 곳이다. 이곳에 자연과 생태, 농촌 체험 등이 가능한 거점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지역 산성은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구축해 ‘산성의 도시 대전’을 만들겠다”고 했다.
이밖에 시는 한문으로 표기된 문화재 안내판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교체하고, 노약자·장애인들을 위한 무장애 시설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대전은 문화재청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대전전통나래관의 문화재 전수 프로그램, 리모델링으로 새로워진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의 공연 등이 준비돼 있다”며 “모든 시민들이 문화유산을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