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테스·피트니스 “살려 달라” 민주당사 앞 거리시위

입력 2021-01-05 18:25
필라테스 피트니스 사업자 연맹 관계자들이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실내체육시설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지침에 따라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과 관련해 정부에게 실효성과 형평성 있는 정책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필라테스·피트니스 사업자 연맹은 5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벼랑 끝에 선 실내체육 사업을 살려달라”고 호소했다.

연맹은 “3차 대유행이 시작되고 정부는 우리의 희생을 당연한 것처럼 여기며 또다시 실내 체육 시설에 집합 금지 명령을 내렸다”면서 “유독 실내 체육 시설에만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형평성과 실효성을 갖춘 방역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앞서 정부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4일 0시부터 17일까지 2주 더 연장했다. 연장 조치에서는 학원·교습소는 인원과 운영 시간을 제한하는 조건 하에 문을 열 수 있도록 허용한 반면 헬스장 등의 실내 체육 시설은 여전히 집합 금지 대상이 돼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나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실내 체육 시설 집합 금지는 방역적으로 불가피하다. 양해를 부탁드리며 방역관리에 협조해달라”면서 조치 해제가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4일 경기도 포천시 오성영 전국헬스클럽관장협회장이 운영하는 헬스장에서 운동기구들이 회원을 기다리고 있다. 이날 오 회장은 "같은 실내체육시설에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방역 정책은 형평성이 없다"며 "헬스장 운영자들은 이대로는 도저히 살 수가 없어 방역 수칙을 지키며 정상 오픈했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일까지였던 실내체육시설 집합 금지 조치를 이달 17일까지 연장했다. 다만 태권도나 발레 등 학원으로 등록된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동시간대 교습 인원이 9명 이하면 영업이 가능하다. 연합뉴스

한편 일부 헬스장은 “같은 실내 체육 시설에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방역 정책은 형평성이 없다”면서 ‘오픈 시위’로 영업을 강행하고 있다.

실내 체육업자들의 시위에 대해 누리꾼들은 “지금껏 참아왔던 울분이 터지기 시작하는구나” “체육 시설만 금지해 놓았으니 열 받을 만 하다” “자영업자분들 힘내세요”와 같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신소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