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수원구치소와 인천구치소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수검사를 실시했다. 서울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사태로 빌딩형 교정시설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실시한 조치다. 5일 동부구치소와 무관한 다른 구치소에서 5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는 등 타 교정시설의 감염 확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법무부는 5일 전국 교정시설의 코로나 확진자수가 전날보다 5명 늘어난 1121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구치소 4명, 천안교도소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모두 동부구치소와 무관한 수용자들이다. 제주교도소에서는 앞서 직원 1명이 확진 됐었는데 수용자와 직원 861명에 대한 전수검사 결과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다.
동부구치소는 이날 6차 전수검사를 실시했다. 이번 검사 결과가 집단감염 확산세가 진정됐는지 여부를 가늠할 기로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6일 교정시설 방역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동부구치소의 방역 실패에 대한 책임론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진보 성향인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은 법무부가 교정시설 차단 외에 뚜렷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브리핑에서도 어떤 조치를 취하는지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동부구치소 관련 첫 사망자인 ‘굿모닝시티 분양 사기 사건’ 주범 윤창열씨의 유족들은 윤씨의 확진 및 형집행정지 사실 등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윤씨의 화장 절차가 진행된 후에야 사망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방자치단체 확인 결과 화장 절차 이전에 유족들에게 통보했다고 한다”며 “수용자와 일반인 장례 절차에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망자는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유족 동의를 받고 화장한 뒤 장례식을 치른다. 교정 당국 관계자는 “윤씨는 형집행정지 상태라 구치소 관리 대상이 아니다. 법무부도 방역 당국으로부터 사망 통지를 받았고 화장 시간도 유족들로부터 들었다”고 설명했다.
동부구치소에 수용돼 있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16일째 서울대병원 진료를 받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앞서 구치소 측에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는 점과 관련해 우려를 표했고 이후 검찰에 형집행정지를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구치소 내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어서 곧바로 복귀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교정 당국 관계자는 “진료를 언제까지 받을지는 의사 진단을 토대로 판단하는 것이지 임의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