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공급 절벽’이 현실로 다가왔다. 올해 1분기 입주 예정 물량이 지난해 1분기보다 30% 이상 급감했다. 공급이 줄어드는 만큼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이 생긴다. 정부가 지난달 전국 37곳을 규제 지역으로 지정하며 발생한 ‘역풍선 효과’와 맞물려 서울 집값이 더 오를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가 전년 동기(8만3602가구) 대비 3.8% 감소한 8만387가구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입주 예정 물량의 급감이 두드러졌다. 1만1370가구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신규 입주 물량이 1만6969가구로 집계됐던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5599가구(33.7%)나 줄었다. 대규모 단지 공급 물량 감소 영향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당장 이번달만 해도 서울 양천구 래미안 목동아델리체(1497가구)를 제외하면 500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 물량이 없다. 오는 3월에도 비슷한 양상이 예고됐다. 서울 마포구 마포프레스티지 자이(1694가구) 외엔 이렇다할 물량을 찾기 힘들다. 그나마 다음 달에 대규모 단지 입주 물량이 몰려 있다 보니 지속적인 공급 부족에 숨통이 살짝 트이는 모양새다. 서울 강동구 고덕자이(1824가구),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9단지 공공분양(962가구), 서울 동작구 롯데캐슬(950가구) 등의 입주 물량이 대기 중이다.
공급 상황만 놓고 보면 서울시 부동산 가격 하락을 유도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지역으로 이동했던 수요가 규제를 피해 서울로 다시 돌아오는 역풍선 효과를 더하면 가격이 되레 오를 가능성이 높다. 국토부가 지난달 17일 부산 등 전국 37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으로 묶으면서 수요가 서울로 몰리는 현상이 감지되고 있다.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1분기 공급 물량은 4만2743가구로 전년 동기(3만2524가구)보다 1만 가구 정도 늘었다. 서울 소비자 수요를 수도권이 얼마나 흡수하는지가 부동산 가격 증감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세종=신준섭 이종선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