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란에 억류된 한국 선박과 선원들이 조기에 풀려날 수 있도록 현지에 교섭 대표단을 파견하고 국제기구 및 다른 국가와도 공조하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청해부대 최영함(4400t급)도 5일 새벽(한국시간)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해 임무 수행에 돌입했다. 다만 정부는 선원의 안전에 위협이 생기지 않도록 ‘로키(low-key)’를 유지하며 외교적으로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5일 “가장 이른 시일 내에 담당지역 국장(고경석 아프리카중동국장)을 실무반장으로 하는 실무대표단을 현지에 급파해 양자 교섭을 통해 해결을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도 10일부터 2박3일 일정으로 이란을 방문한다. 최 차관은 사건 발생 전부터 한국 내 은행에 동결된 이란중앙은행 자금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란 방문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 자금 문제에 대한 이란 정부의 불만이 억류 원인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관련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외교부는 이날 외교부 청사로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 이란대사를 불러 유감을 표명하고 조속한 억류 해제를 요청했다. 이란 측은 해양오염을 언급하며 ‘기술적 문제’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오전 기자들과 만나 선박 억류 동기가 원화자금 동결이냐는 질문에 “섣불리 이야기할 상황은 아니다”며 “우리 선원 안전 확인하는 것이 제일 급선무다. 조속히 나포 상태가 풀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청해부대 33진 최영함은 전날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한국 국적 선박이 이란에 나포됐다는 상황을 접수한 직후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으로 급파됐다. 청해부대는 호르무즈 해협을 왕래하는 다른 한국 국적 선박의 항해 안전 등을 위한 역할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영함은 바레인에 있는 연합해군사령부(CMF) 등과도 긴밀히 협력해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다만 정부는 이번 사건이 자칫 군사 문제로 비화할까 조심하는 분위기다. 군사작전처럼 비쳐질 경우 선원들 안전에 위협이 생길 수 있고, 협상도 늦어져 억류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서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