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한국에 동결된 자금을 코로나19 백신 구매에 사용하는 방안을 한국 정부와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호세인 탄하이 이란·한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3일(현지시간) 이란 ILNA통신에 “2일 에샤크 자한기리 수석 부통령을 만나 코로나19 백신 등을 사는 데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을 소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며 “양국이 동결자금을 사용하는 방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탄하이 회장은 “최우선으로 이란의 동결자금은 백신을 구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며 “이란 보건부가 관련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란은 세계보건기구(WHO) 주도의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 및 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 정부 측에 한국 은행에 동결돼 있는 자금을 백신 대금으로 입금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우리 정부 내에서도 의약품 등 인도적 물품을 거래하는 경우 제재가 면제되는 점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백신을 위해 동결 자금을 이용하는 방안 또한 허용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현재 한국의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이란중앙은행 명의 원화 계좌에는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 약 70억 달러(7조6000억원)가 동결돼 있다. 한국과 이란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상계 방식의 원화 결제 계좌를 운용했으나 미국이 2018년 핵합의를 탈퇴하면서 이란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려 계좌가 동결됐다.
한편 이란 혁명수비대가 4일 한국 상선을 억류한 것과 관련해 이란의 국내 동결자금과 관련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