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 오픈 시위… “저희도 국민이며 한 가족의 가장”

입력 2021-01-04 17:33 수정 2021-01-04 17:36
인스타그램 캡처

정부가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집합금지조치를 2주 연장하겠다는 뜻을 밝히자, 계속되는 경영난을 버티다 못한 일부 헬스장 업주들이 정부의 영업금지조치에 불복해 업장을 개장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4일 오성영 전국헬스클럽관장협회장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정상 오픈한다”며 “수도권에 운영 금지 중인 자영업자 여러분도 모두 다 정상적으로 오픈하자”고 전했다. 그는 실제로 이날 오전부터 정부 방역 조치에 반발해 헬스장을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스타그램 캡처

오 회장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우리 국민 대부분이 처음부터 3단계로 굵고 짧게 가자고 그렇게 이야기를 했지만, K-방역이 어쩌구저쩌구 자화자찬만 늘어놓더니 머슴(정부)들 월급 주는 주인들(국민)이 다 굶어 죽어간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짧고 굵게 가든지 아니면 운영 금지 때린 수도권 자영업자들 모두 다 정상으로 돌려놔라. 더 이상 XX같은 머슴(정부)들 말 들어주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용인에서 D짐을 운영 중인 유 대표 역시 같은 날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실내체육시설의 영업을 정상화하기 위해 ‘오픈 시위’ 릴레이를 시작한다”는 뜻을 밝혔다.

인스타그램 캡처

그는 “모든 걸 내려놓고 더 이상의 끝은 없다고 생각하며 오픈한다”며 “더는 형평성에 어긋난 집합제한을 따라가고 싶지 않다”고 적었다. 이어 “저희도 국민이며 한 가족의 가장이며 직원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이다”면서 “어긋난 정책에서 벗어나고자 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일까지였던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 집합금지조치를 이달 17일까지 연장 시행키로 했다. 이번 조치에서 수도권 학원과 전국의 스키장 등은 인원과 시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업을 가능토록 한 반면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에 대해서는 집합 금지를 유지키로 해 헬스장 업주 등의 저항을 받았다.

앞서 필라테스·피트니스사업자연맹 소속 업주 153명도 지난달 30일 정부를 상대로 1인당 500만원씩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회원 예약제, 사용 인원 제한 등 기준을 두고 실내체육시설의 유동적 운영을 허용해야 한다”는 청원이 올라와 4일 오후 5시 기준 17만4000명의 동의를 얻었다.

김남명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