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정부 “3차 유행 정점 완만히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

입력 2021-01-03 16:36 수정 2021-01-03 17:09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정점이 완만하게 지나가고 있다고 3일 진단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와 연말연시 특별방역 대책을 도입하면서 방역 상황 전반에 서서히 감염 억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선제적 검사를 확대하고 거리두기를 계속 강화한 결과 이번 3차 유행의 확산이 저지되고 있다”며 “현재는 일시적인 정점 상태에서 분기점에 위치해 있거나 혹은 정점을 완만하게 지나가고 있는 중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최근 1주일간 지역발생 확진자는 하루 평균 931.3명꼴이었다. 직전 1주(1017명)와 비교하면 85.7명 감소한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60세 이상 고령 환자는 하루 평균 284.1명으로, 일주일 전(318.1명)보다 3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집단감염 사례 건수가 줄고 감염 전파력을 나타내는 지표가 낮아진 점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최근 1주일간 새롭게 발생한 집단발병 사례는 총 21건으로, 직전 1주(53건)의 절반 아래로 낮아졌다.

확진자 1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감염 재생산지수’는 1.11에서 1.0으로 떨어졌다. 감염 재생산 지수가 1을 넘으면 유행 확산, 1 아래로 떨어지면 확산 억제 상황이 된다.

다만 손 반장은 “휴일과 주말의 검사량 감소 효과를 감안할 때 확실하게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보고 있다”며 “지역사회 감염 저변이 넓은 이번 유행의 특성상 그 감소 속도는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월 한 달간 최대한 유행 규모를 줄일 수 있다면 2월부터는 치료제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통한 보다 공격적인 방역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손 반장은 “내일부터 1월 27일까지 2주간만 모든 사적인 모임을 취소하거나 연기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며 “지금은 모임과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유행 규모의 축소에 가장 효과적인 대응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