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의 3대 통신사를 뉴욕 증시에서 퇴출하기로 한 데 대해 중국 정부가 상응 조치를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2일 성명을 내 “중국은 미국이 ‘공산당 군사 기업’ 명단에 중국 기업을 넣기 위해 국가 안보를 남용하는 행위에 반대한다”며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가 권력을 동원해 중국 기업을 제재하는 행위는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리뿐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 투자자들에게도 해가 된다”며 “미국 자본 시장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과 중국이 공정하고 안정적이며 예측가능한 사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 행정명령에 따라 오는 7~11일 사이에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의 주식 거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중국군이 소유하거나 통제한 중국 기업에 미국인이 투자하지 못하도록 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미 국방부는 중국 통신회사 3곳을 중국군과 연계된 기업 명단에 올렸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뉴욕 증시에서 퇴출되더라도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거래 중단 조치는 예견됐던 일이어서 이미 주가에 반영이 된 데다 중국 상하이와 홍콩의 증시 규모가 커져 자금 조달에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해 5월 국가안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이유로 차이나모바일의 미국 내 영업을 금지했다. 이어 12월에는 차이나텔레콤에 대해서도 미국 내 영업 허가를 취소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아짓 파이 FCC 위원장은 당시 “차이나텔레콤은 통신 감청과 같은 중국 정부의 정보 제공 요구에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통신사 3곳은 홍콩 증시에 상장돼 있고 수익 전체를 중국에서 창출한다”며 “이들 기업이 미국 증시에 올라 있다는 것을 빼면 미국에서 의미있는 존재감은 없다”고 평가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