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의대생 추가 국시, 정부 스스로 원칙 허물어”

입력 2021-01-03 13:55 수정 2021-01-03 14:17
사진=연합뉴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정부가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을 거부해왔던 의대생들에게 추가 시험 기회를 준 것에 대해 “공정과 형평이라는 원칙을 훼손했다”고 반발했다.

보건의료노조는 3일 성명을 내고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의지 표명 없이 의대생 국시 재허용 조치가 추진된 데 충격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본인들의 의사로 이루어진 국시 거부에 대해 정부가 스스로 원칙을 허물었다”며 “개별적 판단으로 거부한 국시를 구제의 목적으로 다시 허용하는 것은 편법과 꼼수를 통한 특혜로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이자 공정과 형평이라는 원칙을 훼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진정한 해결과 마무리는 국시 재응시라는 면죄부가 아니라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의 조속한 추진이어야 한다”며 “부족한 의사 인력과 양극화된 의사 배치를 해결할 제도 개선 의지를 보여야 국민이 납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의사 면허에 필수적인 국시 실기시험을 집단으로 거부한 의대생 2700여명을 단체로 구제하는 별도의 시험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2021년 하반기에 예정된 시험을 상·하반기로 나눠 두 차례로 실시하고, 지난해 시험 거부자들은 1월 말 상반기 시험에 응시토록 조치한 것이다.

의대생들은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의사 국시 실기시험 응시를 거부한 바 있다.

정부와 여당, 의료계가 지난해 9월 ‘의정협의체’ 구성 등을 골자로 한 합의에 이르렀지만 학생들은 두 차례의 재접수 기회에도 시험을 거부했다. 결국 3172명 가운데 최종 423명만 시험을 치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