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의료도시 꿈꾸는 대구 ‘정보통신-의료 융합’ 실증

입력 2021-01-03 13:41
대구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 내 3D프린터 모습. 대구시 제공

선진 의료도시를 꿈꾸는 대구시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 분야를 융합하는 사업을 본격화한다.

대구시는 4일부터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 구축 및 품질책임자 공동 지정’ 실증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앞서 시는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는데 ICT를 의료 분야에 접목하는 대표적인 의료·헬스케어 특구다. 이번 실증사업은 정부, 대학, 기업이 함께 첨단 의료기기 공동 제조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조성하고 규제 개선 유효성 실증, 산업화 성과 등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에는 ‘의료기기법’ 등 관련 규제 때문에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의료기기 시장 진입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특구 지정을 통해 각 기업이 개별 공장을 보유하지 않아도 상품을 개발·상용화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공동제조소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최소 20억원 이상이 필요한 3D프린터 설비투자 비용을 아낄 수 있다.

공동제조소 실증사업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으로 진행되며 ㈜멘티스로지텍 등 12개 특구사업자가 참여한다. ‘인공관절’ 등 첨단 의료기기 8개 품목에 대해 3D프린팅을 통한 시제품 생산부터 제품의 상용화까지 지원한다.

안전한 실증을 위해 공동제조 전용공간(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내)을 확보해 클린룸 설비, 금속 3D프린터(5대), 플라스틱 3D프린터, 세척기 등 제조시설을 설치하고 시험운영을 거쳤다. 또 품질책임자 지정 교육과 이용자 고지, 대구시 안전점검위원회 점검 등의 준비를 마쳤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실증에 참여하는 특구사업자 모두 책임보험에 가입 시키는 등 배상 체계도 확보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실증에서 의료기기 상용화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면 특구가 국내 3D프린팅 의료기기 산업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업들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 실증 결과는 관계 법령의 정비와 향후 정부의 가이드라인, 정책수립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