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수가 사상 처음으로 과거보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고착화된 저출산 추세가 끝내 인구감소로까지 이어졌다. 경제 위축과 복지재정 악화, 지방도시 소멸 등 ‘인구감소 시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는 경고가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한국 주민등록인구(지난해 12월 31일 기준)가 5182만9023명으로, 전년 대비 2만838명 줄었다고 3일 밝혔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를 기록하면서 인구가 최초로 자연 감소했다.
출생아 수 급감이 결정타였다. 2011년 47만8000명에 달했던 출생아 수는 지난해 27만581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7년 30만명대 진입 이후 불과 3년 만에 20만명대로 급락했다. 반면 사망자는 2011년 25만8000명에서 지난해 30만8000명으로 서서히 늘었다. 행안부는 “저출산에 따른 복지·교육·국방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구감소는 지방도시의 소멸을 불러오고 있다.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 중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지자체는 65곳(광역 5·기초 60)에 불과했다. 행안부는 “교육·의료 등 주거여건과 경제기반이 취약한 지방이 소멸 위기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전반적인 인구감소 추세에도 1·2인 세대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1인 세대는 906만3362세대로 전년 대비 57만4741세대나 늘었다. 이에 따라 평균 세대원 수는 2011년 2.53명에서 지난해 2.24명까지 떨어졌다.
아울러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화했다. 2011년 대비 지난해 30·40대 인구 비중은 각각 3%p, 1.4%p 감소했지만 60대·70대 이상은 각각 4.7%p, 3.5%p 증가했다. 10대 이하는 4%p나 줄었다. 행안부는 “국내 경제·고용정책 변화와 노령인구 복지·일자리 고민이 본격적으로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성별 인구 격차도 증가했다. 지난해 여·남 인구 격차는 14만6965명으로, 2015년 처음 여자 인구가 남자를 추월한 뒤 매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남자보다 여자의 평균 수명이 긴 것이 주원인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