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1일 정부가 지난해 의사 국가고시(국시) 실기시험 응시를 거부한 전국 의대생 2700명에게 재응시 기회를 주기로 한 것과 관련해 “국민의 이익을 위해 결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해명했다.
정 총리는 이날 SBS 라디오 ‘이철희의 정치쇼’에 출연해 ‘여론이 굉장히 안 좋은데 왜 의사들 국시 재시험 볼 기회를 줬는가’라는 질문에 “여론이 안 좋은 것 잘 알고 있다. 저는 정치가 여론을 매우 중시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정 총리는 “열의 한둘은 경우에 따라서는 여론과 관계없이 어떤 것이 국민의 이해관계에 맞느냐, 어떤 것이 국익에 합치하느냐에 따라서 결단을 해야되는 게 정치의 영역”이라며 “여론 때문에 2700명의 의사 배출을 1년 지연시킨다는 것은 선택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했다.
정 총리는 ‘국시 재시험 기회를 주는 것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과 이견은 없는가’라는 질문에 “네. 정부 내의 이견은 없다”고 답했다. ‘대통령도 같은 생각인가’라는 거듭된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정 총리는 3차 개각의 시점에 대해서는 “준비되는 대로 한다”고 말했다. ‘너무 찔끔찔끔 하는 것 아닌가. 한꺼 번에 원샷으로 다 하면 안 되는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엔 “요즘 청문회가 너무 까탈스럽게 하는 측면이 있다보니까 사실은 많은 분들이 사양을 하기도 한다고 그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본인은 (장관을) 하려고 하는데 가족들이 하지 말라고 하는가 보다. 그래서 좋은 분들을 모시는 게 쉽지가 않은 것 같다. 그런 측면이 있어서 (3차 개각을) 준비되는 대로 (대통령이)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문 대통령이 추진한 인사를 만류했던 사례 여부에 관해선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인사권은 대통령에게 있는 것이니 특별히 하자가 있거나, 국민적인 저항에 부딪힐 경우에는 이제 말씀을 드려야 되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동반퇴진론’을 추진했다가 결과적으로 실패한 것에 대한 소회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있다”며 “제가 이 두 분들을 어떻게든지 서로 대화하고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려는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그것을 조금 더 일찍, 조금 더 세게 해가지고 성공시켰으면 국민들의 걱정이 없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걱정을 끼쳐드린 것에 대해 총리로서 참 송구한 마음”이라며 “그런 것들이 대통령께 부담을 드린 측면이 있다. 그 점에 대해서는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정 총리는 내년 대선 출마설과 관련해 “지금은 대선주자라기보다는 총리다. 총리의 책무가 너무 막중한 상황에 (출마설은 부적절하다)”며 “코로나19를 이겨야 되고, 민생 챙겨야 되고, 코로나19 이후의 대한민국을 준비하는 일을 제가 해야하는데, 다른 데 한 눈을 팔면 안 되는 입장”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