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일 거리두기 조정안 확정…효과 느리지만 나타나”

입력 2020-12-31 14:01 수정 2020-12-31 14:06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3차 대유행’ 대응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내년 1월 2일에 발표한다.

신규 확진자가 연일 1000명 안팎으로 발생하는 등 획기적 반전이 없는 상황이라 3단계로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할지 주목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오늘 중대본 회의에서 거리두기 조정방안을 논의했다”며 “오늘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1월 2일 중대본 회의를 거쳐 최종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8일부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유지해 왔고 24일부터는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을 적용하며 여행과 모임을 제한해 왔다. 이들 조치는 모두 내년 1월 3일에 종료된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환자 발생 추이가 반전돼 3차 유행이 줄어드는 양상은 아직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며 “억제를 넘어 유행이 감소하는 변곡점을 넘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그간 거리두기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고 봤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거리두기를 통해 효과가 조금 느리지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한다”며 “거리두기를 강화하면서 주별로 증가 폭이 둔화하고 있어, 최근 2주 정도는 900∼1000명 선에서 정체되는 국면을 맞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현재 감염상황과 감염 재생산지수 등을 근거로 계량적으론 환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현실에서는 이보다 훨씬 둔화하는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면서 “이 부분도 결국 거리두기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보통 거리두기가 최고조 효과를 나타내려면 열흘에서 2주 정도 뒤를 봐야 하는데 연말연시 방역 대책은 시행된 지 이제 1주일을 좀 넘은 상황”이라며 “(앞으로) 효과가 더 나타나서 이 정체되고 있는 확산 추이가 더 꺾이는, 다시 말해 환자 증가가 감소하는 쪽으로 전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30일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 지난 주말인 26~27일 전국 이동량은 4만8653건, 수도권은 2만3599건, 비수도권은 2만5054건이다. 이는 직전 주말 대비 수도권 3.4%, 비수도권 1.4%가 감소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