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의 40% 이상이 12월 한 달 동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간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에서만 1500여명의 확진자가 보고됐고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비율도 20%대 후반이 유지됐다. 확산세를 반전시키려면 정부가 더 주도적으로 선제검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0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50명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틀째 1000명대가 나오며 12월에 집계된 확진자는 2만5575명으로 늘었다. 국내 발병 이후 누적 확진자 5만9773명의 42.8%가 한 달 만에 나온 셈이다.
이동량은 계속 감소했지만 확산세 반전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지난 주말 수도권의 휴대전화 이동량은 직전 주말 대비 3.4% 감소했다. 거리두기 1.5단계 시행 직전이던 지난달 14~15일보다는 34.2% 줄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1000명 내외의 환자 발생이 2주 넘게 이어지고 있다”며 “연말까지 길고 어려운 위기가 이어져 방역 당국자로서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최근 2주간의 감염경로 불명 비율은 전날 집계 상으로 28%에 달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그만큼 바이러스가 지역사회에 깊고 넓게 퍼져있다는 의미”라며 “고령자들은 요양병원 등에 모여있고 증상 발현 가능성도 높아 상대적으로 추적하기 쉽지만, 바이러스를 활발히 매개하는 직장인과 청년층을 잡아내기 어려운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역학적 관련성 없이 실시한 검사에서 매일 100명 안팎의 확진자가 이어지는 것 역시 지역사회에 잠재된 감염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중수본에 따르면 이날까지 수도권의 임시선별검사소에서만 1567명이 확진됐다. 정부는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임시선별검사소를 당초 종료 기한인 내년 1월 3일에서 2주 더 연장해 운영키로 했다. 최 교수는 “무증상·경증 감염자가 많은 특성상 국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존하는 검사로는 한계가 명확하다”며 “정부가 학교나 사업장을 대상으로 주도적인 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