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여당 일각에서 제기하는 윤석열 검찰총장 탄핵론에 대해 “탄핵소추가 발의되고 의결되면 검찰총장 직무도 정지되는데 민주당이 탄핵은 받아들여 지지 않아도 일단 목을 치자는 유혹을 받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30일 오전 KBS라디오에 나와 “여당이 윤석열 검찰총장 제거에 혈안이 돼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민주당이 노리는 것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보다도 국회에서의 탄핵 의결 뒤 검찰총장의 직무 정지라는 것이다. 대통령의 탄핵 소추는 국회의원 과반 발의에 3분의 2가 찬성해야 하지만 나머지 국무위원들은 과반만 찬성하면 된다. 민주당이 150석만 동원하면 윤 총장을 직무 정지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주 원내대표는 “여당이 두 차례나 윤 총장의 제거를 시도하다 법원에 의해 제동이 걸렸으면 반성하고 사과해야 하는데 울분을 못 참고 씩씩거리고 있다”며 “또 180석이 있다고 힘자랑하면서 무리하게 하면 아마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검찰 수사권·기소권 분리 등 민주당의 검찰개혁 2탄에 대해선 “민주당은 검찰탄압이라 써놓고 그 사람들만 검찰개혁이라고 읽는다”고 비판했다. 주 원내대표는“검찰의 기소권과 수사권을 분리한다고 하면서 공수처는 기소권과 수사권을 다 줬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자가당착이자 이율 배반”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욱 헌법재판소 연구관의 최종 지명을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주 원내대표는 “아직 결정된 건 아니지만 권력의 의중이 어디 있다는 것은 알고 있다”며 “한 사람은 형식적으로 끼워 넣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답했다. 또 다른 후보인 이건리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들러리로 보는 것 같냐는 사회자의 질문에는 “검사 출신은 쓰지 않겠다는 의사를 (여당이) 여러 차례 비춰왔다”고 했다. 실제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공수처장으로 김 연구관을 지명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어 “신임 공수처장은 검찰이 수사하고 있는 정권 비리 사건을 빼앗아 사장할 확률이 있다”며 “말하자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하는 것과 똑같은 행태를 보일 확률이 대단히 높다”고 판단했다.
주 원내대표는 공수처 인사위원회 구성 때 야당 추천위원을 추천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했다. 그는 “야당의 의견이 반영되는 구조라면 피할 생각이 없지만, 후보추천위원회처럼 형식적으로 들러리만 세우고 자신들끼리 담합하면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