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자 아이의 초경 연령이 계속 앞당겨지고 있으며 조기 초경 기준은 10.5세 미만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만이나 과체중 뿐 아니라 정상체중 여아에서도 사춘기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정상체중인 경우라도 유방 발달이 만 8세 전에 너무 빨리 발현되지는 않는지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교수팀은 2006~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여학생 35만1006명(12~18세)의 초경 연령을 분석한 결과, 1988년 출생아의 초경 연령은 13.0세에서 2003년 출생아는 12.6세로 15년간 약 5개월 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이전 연구들에서 1980년대 초 출생아 기준 13.1~13.8세로 보고됐던 초경 연령보다 1년 가량 앞당겨진 것이다.
연구진은 전 참가자의 3%가 10.5세 이하 연령에서 초경을 시작한다고 분석해 10.5세를 한국 여아의 조기 초경 연령 기준으로 보고했다.
조기 초경의 유병률은 2006년 1.8%에서 점차 증가해 2015년에는 3.2%까지 증가했다. 조기 초경 유병률은 비만과 과체중 여아에서 약 1.5~2배 가량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정상 체중 및 저체중 여아에서도 증가하는 추세가 관찰됐다.
박미정 교수는 “많은 연구자들과 보호자들은 예전 기준을 적용해 12세 미만 초경 연령을 조기 초경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조기 초경 연령의 기준의 근거가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35만 명이라는 대규모 대상으로 추이와 기준점을 연구로서 의미가 깊고, 성조숙증에 대한 치료나 연구는 현 시점에 맞는 초경 연령을 고려해 이루어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신혜 교수는 “이 연구는 비만이나 과체중 여아에서 조기 초경 유병률이 상승한 것을 보여주므로 과체중 조절을 통해 성조숙증의 발생과 비만으로 인해 성장판이 빨리 닫히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한 정상체중인 경우라도 유방 발달이 만 8세 전에 너무 빨리 발현되지는 않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